삼각 함수 의 합성 | 삼각함수의 합성 77 개의 자세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삼각 함수 의 합성 – 삼각함수의 합성“?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erynkruegermekash.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erynkruegermekash.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수악중독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63,418회 및 좋아요 71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삼각함수의 합성은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의 합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을 하나의 삼각함수로 통일할 수 있다. 따라서 삼각함수의 합성을 이용하여 삼각함수의 최대, 최소 또는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거나 삼각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삼각 함수 의 합성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삼각함수의 합성 – 삼각 함수 의 합성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http://mathjk.tistory.com

삼각 함수 의 합성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삼각함수의 합성 – winner

01. 삼각함수 합성을 시작하며… 이전에 삼각함수 합성 부분에 대해서 쓴 적이 있는데 글이 너무 오래 되어서 이번 기회에 그떄의 내용을 조금 보완 …

+ 더 읽기

Source: j1w2k3.tistory.com

Date Published: 3/12/2022

View: 4651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 나무위키:대문

4. 따름정리. 4.1. 삼각함수의 합성4.2. 배각의 공식. 4.2.1. 3배각의 공식. 4.3. 반각의 공식4.4. 곱을 합으로 바꾸는 공식4.5. 합을 곱으로 바꾸는 공식. 5. 기타6.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3/1/2021

View: 5933

삼각함수 합성 – 수학공부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는 기본으로 외워놓고 시작~. 먼저, 5로 묶어줍니다. 5가 어디서 나왔냐구요..? 여기서요. ① (사인)으로 합성하려면.

+ 더 읽기

Source: silverstonec.tistory.com

Date Published: 8/13/2022

View: 5054

삼각함수의 합성법칙(공식, 예제풀이) – 지구에서 살아남기

안녕하세요. 훈릴스입니다. 오늘은 삼각함수의 합성법칙을 이용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사실 다른 삼각함수의 법칙들에 비해서 사용량이 …

+ 여기를 클릭

Source: alive-earth.com

Date Published: 11/18/2021

View: 7763

Top 5 삼각 함수 의 합성 41 Most Correct Answers

삼각함수의 합성은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의 합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을 하나의 삼각함수로 통일할 수 있다. 따라서 삼각함수의 합성을 이용하여 삼각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toplist.avitour.vn

Date Published: 1/4/2022

View: 579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삼각 함수 의 합성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삼각함수의 합성.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삼각함수의 합성
삼각함수의 합성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삼각 함수 의 합성

  • Author: 수악중독
  • Views: 조회수 63,418회
  • Likes: 좋아요 713개
  • Date Published: 2016. 3. 2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pMSjRDbSSgs

삼각함수의 합성

■ 삼각함수의 합성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 )를

( ) 또는 ( )

꼴의 삼각함수로 나타내어 보자.

1. 사인함수로 합성할 때는 사인함수의 덧셈정리를 사용해야 하므로 곱해지는 삼각함수를 다르게 만들면 된다.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의 점 P(a,b)를 잡고, 동경 OP가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을 라 하면

,

이므로

2. 코사인함수로 합성할 때는 코사인함수의 덧셈정리를 사용해야 하므로 곱해지는 삼각함수를 같게 만들면 된다.

,

이므로

이와 같이 를 ( ) 또는 ( )와 같은 꼴로 나타내는 것을 삼각함수의 합성이라고 한다.

삼각함수의 합성

(1) 사인합성

(2) 코사인합성

( )

사인합성과 코사인합성은 형태는 다르지만 같은 값을 나타낸다.

삼각함수의 합성은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의 합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을 하나의 삼각함수로 통일할 수 있다. 따라서 삼각함수의 합성을 이용하여 삼각함수의 최대, 최소 또는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거나 삼각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를 의 꼴로 나타내보자.

그림과 같이 점 P(1,1)을 잡으면

, 이므로

삼각함수의 합성을 이용하여 삼각함수 의 주기와 최댓값, 최솟값을 구하여 보자.

이므로 주기는 이다.

또한 이므로

따라서 a, b가 동시에 0이 아니면

의 최댓값은 이고, 최솟값은 이다.

예) 의 주기와 최댓값, 최솟값을 구하여 보자.

따라서 최댓값은 2, 최솟값은 –2, 주기는 이다.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다양한 증명 삼각함수의 배각 및 반각 공식 (단위원으로 증명) 삼각함수의 주기와 최대, 최소값, 삼각방정식과 부등식 삼각함수의 그래프(sin, cos, tan)와 그 성질 삼각함수 마인드맵 삼각함수로 치환하는 치환적분법(삼각치환법)

반응형

삼각함수의 합성

01. 삼각함수 합성을 시작하며…

이전에 삼각함수 합성 부분에 대해서 쓴 적이 있는데 글이 너무 오래 되어서 이번 기회에 그떄의 내용을 조금 보완하여 다시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기본적인 이론과 목적을 바탕으로 해서 예제문제를 추가해 보았습니다.

열심히 수학을 공부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02. 삼각함수 합성

03. 삼각함수 합성 증명

04. 삼각함수 합성 사용 조건

05. 삼각함수 합성 정보

05. 삼각함수 합성 예제들

[5분 고등수학] 삼각함수의 합성

반응형

삼각함수 두개를 하나로 합치는 방법이 있습니다. 모든 경우에 다 되는 것은 아니고 각도가 같은 사인과 코사인값을 합치는 것이 가능합니다.

아래와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합칠 수 있는데요. $\alpha$와 $\beta$의 의미는 뒤에서 설명하겠습니다.

$a\sin\theta+b\cos\theta=\sqrt{a^{2}+b^{2}}\sin(\theta+\alpha)$

$a\sin\theta+b\cos\theta=\sqrt{a^{2}+b^{2}}\sin(\theta-\beta)$

외워서 풀면 금방 잊습니다. 원리를 이해하고 원리로 푸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나씩 유도해봅시다.

1) $a\sin\theta+b\cos\theta=\sqrt{a^{2}+b^{2}}\sin(\theta+\alpha)$

계수인 a와 b를 좌표평면에 표시해보겠습니다. a를 x값으로, b를 y값으로 놓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직각삼각형을 그려봅시다. 원점에서 생기는 각을 $\alpha$라고 놓겠습니다.

이때 a와 b를 삼각함수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a=\sqrt{a^{2}+b^{2}}\cos\alpha$

$b=\sqrt{a^{2}+b^{2}}\sin\alpha$

우리가 유도하려던 식의 좌변은 아래와 같습니다.

$a\sin\theta+b\cos\theta$

위에서 구한 a,b를 대입해줍시다.

$a\sin\theta+b\cos\theta=\sqrt{a^{2}+b^{2}}\cos\alpha\sin\theta+\sqrt{a^{2}+b^{2}}\sin\alpha\cos\theta$

아래와 같이 묶어줍시다.

$a\sin\theta+b\cos\theta=\sqrt{a^{2}+b^{2}}\left( \cos\alpha\sin\theta+\sin\alpha\cos\theta \right)$

삼각함수의 사인 합공식을 적용합시다.

$a\sin\theta+b\cos\theta=\sqrt{a^{2}+b^{2}}\sin(\theta+\alpha)$

2) $a\sin\theta+b\cos\theta=\sqrt{a^{2}+b^{2}}\sin(\theta-\beta)$

아래 그림과 같이 직각을 제외한 다른 각을 $\beta$로 놓겠습니다.

이때 a와 b를 삼각함수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a=\sqrt{a^{2}+b^{2}}\sin\beta$

$b=\sqrt{a^{2}+b^{2}}\cos\beta$

우리가 유도하려던 식의 좌변은 아래와 같습니다.

$a\sin\theta+b\cos\theta$

위에서 구한 a,b를 대입해줍시다.

$a\sin\theta+b\cos\theta=\sqrt{a^{2}+b^{2}}\sin\beta\sin\theta+\sqrt{a^{2}+b^{2}}\cos\beta\cos\theta$

아래와 같이 묶어줍시다.

$a\sin\theta+b\cos\theta=\sqrt{a^{2}+b^{2}}\left( \sin\beta\sin\theta+\cos\beta\cos\theta \right)$

삼각함수의 코사인 차공식을 적용합시다.

$a\sin\theta+b\cos\theta=\sqrt{a^{2}+b^{2}}\cos(\theta-\beta)$

반응형

삼각함수의 합성의 색다른 관점

현행 교육과정에서 삼각함수의 합 꼴이 나와있을 때, 그것의 최대나 최소를 구하는 방법은 삼각함수의 합성이 있습니다. (물론, 미분해서 극값 찾아도 되지만 굳이…)

삼각함수의 합성이란 무엇이냐… 그러니까 이런 것을 말합니다.

$$a \sin \theta + b \cos \theta = \sqrt{a^2 + b^2} \sin (\theta + \alpha)$$

$$a \sin \theta + b \cos \theta = \sqrt{a^2 + b^2} \cos (\theta – \beta)$$

즉, 같은 각도의 일차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의 합을 하나의 삼각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죠. 이렇게 바꾸면 최댓값과 최솟값이 각각 $\sqrt{a^2 + b^2}$ 과 $-\sqrt{a^2 + b^2}$ 이 되는 것을 쉽게 아실 수 있겠습니다. (물론, 합성된 삼각함수의 각의 범위가 $0$부터 $2\pi$같이 평면 상의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을 다 표현할 수 있게 되어야겠죠?)

대부분의 문제는 이렇게 최댓값이나 최솟값에 대해 물어봅니다. 하지만, 여기서 많은 학생들이 헷갈려 하는 것이 저 $\alpha$와 $\beta$입니다. 다른 참고서를 보면 $\alpha$와 $\beta$를 $a$와 $b$에 대해서 표현한 식이 참 많이 보이는데, 이를 굳이 힘들게 외우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그러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면, 여기서 $\alpha$와 $\beta$가 왜 중요한가? 바로 $\theta$가 얼마일 때 최대이고 최소인지 문제에서 묻기 때문이죠.

일반적으로는 $\sin$은 $\dfrac{\pi}{2}$일 때 최대, $\dfrac{3}{2} \pi$일 때 최소이므로

$$ \theta + \alpha = \frac{\pi}{2},\ \frac{3}{2}\pi$$

를 사용하여 $\theta$를 구합니다.

너무 힘들지 않았나요? 그래서, 이를 좀 더 쉽고 색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합니다.

벡터와 벡터의 내적

(이미 벡터와 내적을 알고 계신 분들은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벡터란, 고등학교 내에서는 크기와 동시에 방향을 가지는 양으로 정의합니다. 그래서 표현도 화살표로 표현하죠. 하지만, 사실 수학에서는 벡터공간이라는 것을 특별히 정의하여 그것의 원소이기만 하면 벡터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직관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n$차원 벡터같은 것도 있죠.

앞으로의 설명을 위해 원점에 대한 위치벡터로 표현하겠습니다. 위치벡터란 어떤 점을 기준점으로 한 벡터로, 만일 좌표계의 원점을 기준점으로 잡았으면, 그 점의 좌표에서 기준점의 좌표를 뺀 것이 위치벡터가 되는 셈이죠.

기준점을 원점으로 잡은경우

즉, 만일 기준점을 원점으로 했다면 그냥 그 점의 좌표가 위치벡터가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앞으로는 이렇게 원점을 기준점으로 한 위치벡터만을 사용하겠습니다. 이렇게 벡터는 순서쌍으로 표현될 수 있고, 각각 ($x$성분, $y$성분)을 나타냅니다. 앞으로는 위치벡터를 하나의 소문자로 쓰고, 볼드체로 나타내겠습니다.

그리고, 두 벡터 $\mathbf{p} = (p_1 , p_2)$와 $\mathbf{q} = (q_1,q_2)$ 의 내적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mathbf{p} \cdot \mathbf{q} = p_1 q_1 + p_2 q_2$$

이로부터 얻어지는 성질로 벡터의 크기를 $||\mathbf{p}|| = \sqrt{p_1^2 + p_2^2}$ 라고 정의하고, 두 벡터의 사잇각을 $\theta$ 라고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mathbf{p} \cdot \mathbf{q} = ||\mathbf{p}|| \ ||\mathbf{q}|| \cos\theta $$

또한, 내적은 교환법칙이 성립합니다.

그럼, 이를 활용해보죠.

내적을 이용한 삼각함수의 합성

삼각함수의 합성을 보면, $a\sin\theta + b\cos\theta$의 꼴입니다. 뭔가 곱해져 있고, 더해져 있는 꼴이니까 내적과 연관지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즉, 이렇게 써보는 것이죠.

$$a\sin\theta + b\cos\theta = (\cos\theta , \sin\theta)\cdot(b,a)$$

굳이 벡터를 $(\sin\theta,\cos\theta)$가 아닌 $(\cos\theta,\sin\theta)$라고 쓴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좌표평면에서 $(\cos\theta,\sin\theta)$는 반지름의 길이가 $1$인 단위원 위의 한 점을 나타내기 때문이죠. 즉, 좌표평면에 두 벡터 $(\cos\theta,\sin\theta)$와 $(b,a)$를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원과 벡터

그렇다면, 내적의 성질에 의해 두 벡터가 평행할 때, 즉 $\theta = \beta$일 때 $\cos(\theta-\beta)$의 값이 $1$이 되므로 최대가 되겠군요. 반대로, 두 벡터의 방향이 반대일 때, 즉 $\theta = \beta + \pi$일 때 $\cos(\theta – \beta)$의 값이 $-1$이 되니 최소가 됩니다.

(위 그림에서 사잇각이 $\theta – \beta$라는 점을 생각하면 됩니다)

다시 말해서, 그냥 최대일 때의 $\theta$는 $\beta$, 최소일 때는 $\beta + \pi$가 된다는 것입니다. 즉, 굳이 어렵게 외우려고 하지 않아도 위 그림만 그리면 된다는 의미이죠.

$(\cos\theta,\sin\theta)$의 크기는 $\sqrt{\cos^ \theta + \sin^2 \theta} = 1$이고 $(b,a)$의 크기는 $\sqrt{a^2 + b^2}$이므로 합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a\sin\theta + b\cos\theta = (\cos\theta , \sin\theta)\cdot(b,a) = \sqrt{a^2 + b^2} \cos(\theta-\beta)$$

(우와! 알고 있던 식과 같네요!) 실제로 이 $\beta$가 앞에서의 $\beta$가 맞습니다.

사인에 대해 정리하고 싶으시다면 적절히 $\dfrac{\pi}{2}$를 더하고 빼면 되겠죠.

복소수를 이용한 삼각함수의 합성

(문제를 빨리 풀기만을 위한 사람들은 이 파트를 뛰어넘어도 됩니다.)

삼각함수와 관련있는 것이 또 있습니다. 바로, 복소수인데요. 가로축을 실수축으로, 세로축을 허수축으로 한 복소평면위에 모든 복소수를 대응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소수 또한 벡터처럼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값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일러 공식이라는 위대한 공식이 있죠. 다음과 같습니다.

$$e^{i \theta} = \cos\theta + i\sin\theta$$

즉, 모든 복소수를 위와 같은 지수함수꼴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복소수 $z$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z = r e^{i\phi}$$

여기서 $r$은 $z$의 크기, $\theta$는 $z$의 편각입니다.

이를 통해 다시 삼각함수의 합성을 생각해봅시다. 다음과 같은 두 복소수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z_1 = \cos\theta + i\sin\theta$$

$$z_2 = b+ai$$

그러면 각각은 오일러 공식에 의해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습니다.

$$z_1 = e^{i\theta}$$

$$z_2 = \sqrt{a^2 + b^2} e^{i\beta}$$

둘을 나눠보죠. 그러면 다음과 같습니다.

$$ \frac{z_1}{z_2} = \frac{\cos\theta+i\sin\theta}{b+ai} = \frac{1}{\sqrt{a^2 + b^2}} e^{i(\theta-\beta)} $$

분모의 실수화를 통해 식을 정리하면,

$$ \frac{(\cos\theta+i\sin\theta)(b-ai)}{\sqrt{a^2 + b^2}} = \frac{(a\sin\theta + b\cos\theta)+(b\sin\theta – a\cos\theta)i}{\sqrt{a^2+b^2}} = e^{i(\theta-\beta)} $$

오일러 공식에 따라 $e^{i(\theta-\beta)} = \cos(\theta-\beta) + i\sin(\theta-\beta)$이므로, 복소수 상등을 적용하면 이렇게 정리될 수 있습니다.

$$ a\sin\theta + b\cos\theta = \sqrt{a^2 + b^2} \cos(\theta-\beta) $$

$$ b\sin\theta – a\cos\theta = \sqrt{a^2 + b^2} \sin(\theta-\beta) $$

오! 이렇게 해도 결과가 나오는군요!

만일 $\sin$에 대해 정리하고 싶으시다면 $\theta$ 대신 $\theta + \dfrac{\pi}{2}$를 대입하면 됩니다.

$$ b\sin\left(\theta+\frac{\pi}{2}\right) – a\cos\left(\theta+\frac{\pi}{2}\right) = a\sin\theta + b\cos\theta = \sqrt{a^2 + b^2} \sin\left(\theta + \left(\frac{\pi}{2}-\beta\right)\right) = \sqrt{a^2 + b^2} \sin(\theta+\alpha) $$

단, 여기서 $\alpha = \dfrac{\pi}{2} – \beta$입니다. 이도 앞에서의 $\alpha$가 맞습니다.

마치며

이 방법이 익히는데 조금 걸릴지는 몰라도 유용하게 사용하면 정말 좋은 방법입니다. 뭔가 위상자와도 관계가 있는것 같습니다. 그것은 한번 개인적으로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삼각함수 합성, 싸인 합성

주기가 같지만, 상(phase)이 다른 싸인파들의 선형결합은 또 다른 상의 동일주기의 싸인파가 된다. 코싸인 함수는 싸인 함수와 동일하며, 다만 위상만 π/2 앞설 뿐이다. 두 삼각함수를 하나의 싸인파로 합성하여 그 진폭의 최대, 최소값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삼각함수 합성

728×90

반응형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는 기본으로 외워놓고 시작~

먼저, 5로 묶어줍니다.

5가 어디서 나왔냐구요..? 여기서요

① (사인)으로 합성하려면

공식에 맞게 순서를 바꿔 써주면

이제 눈에 들어오나요..?

말은 빼고 식만 쭈욱 써보면

사인, 코사인 다 쓰기 귀찮으면 탄젠트만 써도 되요~

② (코사인)으로 합성하려면

공식에 맞게 순서를 바꿔 써주면

이제 눈에 들어오나요..?

역시, 말은 빼고 식만 쭈욱 써보면

역시 사인, 코사인 다 쓰기 귀찮으면 탄젠트만 쓰세요~

얼추 감이 잡혔으니까

이제 a, b로 놓고 합성해 보겠습니다.

① (사인)으로 합성

또는

② (코사인)으로 합성

또는

복습하는 셈치고

마이너스인 경우도 한번 합성해 볼께요~ ;;;;;

① (사인)으로 합성

또는

② (코사인)으로 합성

또는

삼각함수 합성의 활용 예는

‘일차식의 최대최소 (3)’ 문제1의 풀이5, 문제2의 풀이4에 있구요

몇 개 더 추가해보면

어케 치환해야 하는지

감이 잡히죠..?! ^-^//

요기로 가면 → www.gajok.co.kr/math.html

다른 글들도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728×90

반응형

삼각함수의 합성법칙(공식, 예제풀이)

반응형

안녕하세요. 훈릴스입니다.

오늘은 삼각함수의 합성법칙을 이용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사실 다른 삼각함수의 법칙들에 비해서 사용량이 적은 공식입니다. 하지만, 대학교로 진학하시는 분이라면 꼭 알고계셔야해요. 실제로 공식을 유도할 때 많이 사용되는 법칙이거든요. 그러면 바로 레츠게릿!!

삼각함수의 덧셈법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계수가 있는 sin과 cos을 하나의 삼각함수로 표현하는 방법인데요. 이것을 통해서 우리가 궁극적으로 알고자하는 것은 바로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두 개의 항으로 표현하면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는 것이 쉽지 않기에 하나의 항으로 표현하는 것이죠. 그래서 합성함수는 공식을 유도하거나, 유도한 공식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이제 이러한 공식을 사용해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해보겠습니다. 단순히 공식을 아는 것과 적용해보는 것은 천지차이니깐요. 그럼 바로 문제를 풀어봅시다.

문제) 3sinX + 4cosX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여라.

풀이 ) 두 개의 항이 있는 다항식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해야 하는군요. 간단합니다. 앞서 배운 공식을 바로 이용해보겠습니다.

3sinX + 4cosX = 5sin(X+a) –> sin(X+a)의 최댓값 : 1, 최솟값 : -1

그러므로 두 다항식의 최댓값은 5이고 최솟값은 -5입니다. 이렇게 두개의 항이 있는 식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삼각함수의 합성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Top 5 삼각 함수 의 합성 41 Most Correct Answers

삼각함수의 합성

삼각함수의 합성

삼각함수의 합성 – JW MATHidea

Article author: jwmath.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25976 Ratings

Ratings Top rated: 3.7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삼각함수의 합성 – JW MATHidea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삼각함수의 합성 – JW MATHidea Updating ■ 삼각함수의 합성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 )를 ( ) 또는 ( ) 꼴의 삼각함수로 나타내어 보자. 1. 사인함수로 합성할 때는 사인함수의 덧셈정리를 사용해야 하므로 곱해지는 삼각함수를 다르게 만..

Table of Contents:

삼각함수의 합성 – JW MATHidea

Read More

삼각함수의 합성 :: winner

Article author: j1w2k3.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5162 Ratings

Ratings Top rated: 4.2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삼각함수의 합성 :: winner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삼각함수의 합성 :: winner Updating 01. 삼각함수 합성을 시작하며… 이전에 삼각함수 합성 부분에 대해서 쓴 적이 있는데 글이 너무 오래 되어서 이번 기회에 그떄의 내용을 조금 보완하여 다시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기본적인 이론과 목적을 바..

Table of Contents:

삼각함수의 합성

티스토리툴바

삼각함수의 합성 :: winner

Read More

[5분 고등수학] 삼각함수의 합성

Article author: hsm-edu-math.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23806 Ratings

Ratings Top rated: 3.0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5분 고등수학] 삼각함수의 합성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5분 고등수학] 삼각함수의 합성 Updating 삼각함수 두개를 하나로 합치는 방법이 있습니다. 모든 경우에 다 되는 것은 아니고 각도가 같은 사인과 코사인값을 합치는 것이 가능합니다. 아래와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합칠 수 있..

Table of Contents:

태그

관련글

댓글2

전체 방문자

최근댓글

태그

티스토리툴바

[5분 고등수학] 삼각함수의 합성

Read More

삼각함수의 합성의 색다른 관점

Article author: chemicals1234.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36372 Ratings

Ratings Top rated: 4.6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삼각함수의 합성의 색다른 관점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삼각함수의 합성의 색다른 관점 Updating 현행 교육과정에서 삼각함수의 합 꼴이 나와있을 때, 그것의 최대나 최소를 구하는 방법은 삼각함수의 합성이 있습니다. (물론, 미분해서 극값 찾아도 되지만 굳이…) 삼각함수의 합성이란 무엇이냐… 그러니까..

Table of Contents:

태그

‘수학📐’ Related Articles

티스토리툴바

삼각함수의 합성의 색다른 관점

Read More

삼각함수의 합성법칙(공식, 예제풀이)

Article author: alive-earth.com

Reviews from users: 41370 Ratings

Ratings Top rated: 3.3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삼각함수의 합성법칙(공식, 예제풀이) 안녕하세요. 훈릴스입니다. 오늘은 삼각함수의 합성법칙을 이용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사실 다른 삼각함수의 법칙들에 비해서 사용량이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삼각함수의 합성법칙(공식, 예제풀이) 안녕하세요. 훈릴스입니다. 오늘은 삼각함수의 합성법칙을 이용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사실 다른 삼각함수의 법칙들에 비해서 사용량이 … 안녕하세요. 훈릴스입니다. 오늘은 삼각함수의 합성법칙을 이용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사실 다른 삼각함수의 법칙들에 비해서 사용량이 적은 공식입니다. 하지만, 대학교로 진학하시는 분이라면 꼭 알..

Table of Contents:

태그

관련글

댓글0

공지사항

최근댓글

티스토리툴바

삼각함수의 합성법칙(공식, 예제풀이)

Read More

삼각함수 합성 :: 수학공부

Article author: silverstonec.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23465 Ratings

Ratings Top rated: 3.5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삼각함수 합성 :: 수학공부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는 기본으로 외워놓고 시작~. 먼저, 5로 묶어줍니다. 5가 어디서 나왔냐구요..? 여기서요. ① (사인)으로 합성하려면.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삼각함수 합성 :: 수학공부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는 기본으로 외워놓고 시작~. 먼저, 5로 묶어줍니다. 5가 어디서 나왔냐구요..? 여기서요. ① (사인)으로 합성하려면.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는 기본으로 외워놓고 시작~ 먼저, 5로 묶어줍니다. 5가 어디서 나왔냐구요..? 여기서요 ① (사인)으로 합성하려면 공식에 맞게 순서를 바꿔 써주면 이제 눈에 들어오나요..? 말은 빼고..수학공부

Table of Contents:

삼각함수 합성

티스토리툴바

삼각함수 합성 :: 수학공부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avitour.vn/blog/.

삼각함수의 합성

728×90 ■ 삼각함수의 합성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 )를 ( ) 또는 ( ) 꼴의 삼각함수로 나타내어 보자. 1. 사인함수로 합성할 때는 사인함수의 덧셈정리를 사용해야 하므로 곱해지는 삼각함수를 다르게 만들면 된다.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의 점 P(a,b)를 잡고, 동경 OP가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을 라 하면 , 이므로 2. 코사인함수로 합성할 때는 코사인함수의 덧셈정리를 사용해야 하므로 곱해지는 삼각함수를 같게 만들면 된다. , 이므로 이와 같이 를 ( ) 또는 ( )와 같은 꼴로 나타내는 것을 삼각함수의 합성이라고 한다. 삼각함수의 합성 (1) 사인합성 (2) 코사인합성 ( ) 사인합성과 코사인합성은 형태는 다르지만 같은 값을 나타낸다. 삼각함수의 합성은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의 합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을 하나의 삼각함수로 통일할 수 있다. 따라서 삼각함수의 합성을 이용하여 삼각함수의 최대, 최소 또는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거나 삼각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를 의 꼴로 나타내보자. 그림과 같이 점 P(1,1)을 잡으면 , 이므로 ∴ 삼각함수의 합성을 이용하여 삼각함수 의 주기와 최댓값, 최솟값을 구하여 보자. 이므로 주기는 이다. 또한 이므로 따라서 a, b가 동시에 0이 아니면 의 최댓값은 이고, 최솟값은 이다. 예) 의 주기와 최댓값, 최솟값을 구하여 보자. 따라서 최댓값은 2, 최솟값은 –2, 주기는 이다.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다양한 증명 삼각함수의 배각 및 반각 공식 (단위원으로 증명) 삼각함수의 주기와 최대, 최소값, 삼각방정식과 부등식 삼각함수의 그래프(sin, cos, tan)와 그 성질 삼각함수 마인드맵 삼각함수로 치환하는 치환적분법(삼각치환법) 728×90 반응형

[5분 고등수학] 삼각함수의 합성

반응형 삼각함수 두개를 하나로 합치는 방법이 있습니다. 모든 경우에 다 되는 것은 아니고 각도가 같은 사인과 코사인값을 합치는 것이 가능합니다. 아래와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합칠 수 있는데요. $\alpha$와 $\beta$의 의미는 뒤에서 설명하겠습니다. $a\sin\theta+b\cos\theta=\sqrt{a^{2}+b^{2}}\sin(\theta+\alpha)$ $a\sin\theta+b\cos\theta=\sqrt{a^{2}+b^{2}}\sin(\theta-\beta)$ 외워서 풀면 금방 잊습니다. 원리를 이해하고 원리로 푸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나씩 유도해봅시다. 1) $a\sin\theta+b\cos\theta=\sqrt{a^{2}+b^{2}}\sin(\theta+\alpha)$ 계수인 a와 b를 좌표평면에 표시해보겠습니다. a를 x값으로, b를 y값으로 놓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직각삼각형을 그려봅시다. 원점에서 생기는 각을 $\alpha$라고 놓겠습니다. 이때 a와 b를 삼각함수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a=\sqrt{a^{2}+b^{2}}\cos\alpha$ $b=\sqrt{a^{2}+b^{2}}\sin\alpha$ 우리가 유도하려던 식의 좌변은 아래와 같습니다. $a\sin\theta+b\cos\theta$ 위에서 구한 a,b를 대입해줍시다. $a\sin\theta+b\cos\theta=\sqrt{a^{2}+b^{2}}\cos\alpha\sin\theta+\sqrt{a^{2}+b^{2}}\sin\alpha\cos\theta$ 아래와 같이 묶어줍시다. $a\sin\theta+b\cos\theta=\sqrt{a^{2}+b^{2}}\left( \cos\alpha\sin\theta+\sin\alpha\cos\theta \right)$ 삼각함수의 사인 합공식을 적용합시다. $a\sin\theta+b\cos\theta=\sqrt{a^{2}+b^{2}}\sin(\theta+\alpha)$ 2) $a\sin\theta+b\cos\theta=\sqrt{a^{2}+b^{2}}\sin(\theta-\beta)$ 아래 그림과 같이 직각을 제외한 다른 각을 $\beta$로 놓겠습니다. 이때 a와 b를 삼각함수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a=\sqrt{a^{2}+b^{2}}\sin\beta$ $b=\sqrt{a^{2}+b^{2}}\cos\beta$ 우리가 유도하려던 식의 좌변은 아래와 같습니다. $a\sin\theta+b\cos\theta$ 위에서 구한 a,b를 대입해줍시다. $a\sin\theta+b\cos\theta=\sqrt{a^{2}+b^{2}}\sin\beta\sin\theta+\sqrt{a^{2}+b^{2}}\cos\beta\cos\theta$ 아래와 같이 묶어줍시다. $a\sin\theta+b\cos\theta=\sqrt{a^{2}+b^{2}}\left( \sin\beta\sin\theta+\cos\beta\cos\theta \right)$ 삼각함수의 코사인 차공식을 적용합시다. $a\sin\theta+b\cos\theta=\sqrt{a^{2}+b^{2}}\cos(\theta-\beta)$ 반응형

삼각함수의 합성의 색다른 관점

현행 교육과정에서 삼각함수의 합 꼴이 나와있을 때, 그것의 최대나 최소를 구하는 방법은 삼각함수의 합성이 있습니다. (물론, 미분해서 극값 찾아도 되지만 굳이…) 삼각함수의 합성이란 무엇이냐… 그러니까 이런 것을 말합니다. $$a \sin \theta + b \cos \theta = \sqrt{a^2 + b^2} \sin (\theta + \alpha)$$ $$a \sin \theta + b \cos \theta = \sqrt{a^2 + b^2} \cos (\theta – \beta)$$ 즉, 같은 각도의 일차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의 합을 하나의 삼각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죠. 이렇게 바꾸면 최댓값과 최솟값이 각각 $\sqrt{a^2 + b^2}$ 과 $-\sqrt{a^2 + b^2}$ 이 되는 것을 쉽게 아실 수 있겠습니다. (물론, 합성된 삼각함수의 각의 범위가 $0$부터 $2\pi$같이 평면 상의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을 다 표현할 수 있게 되어야겠죠?) 대부분의 문제는 이렇게 최댓값이나 최솟값에 대해 물어봅니다. 하지만, 여기서 많은 학생들이 헷갈려 하는 것이 저 $\alpha$와 $\beta$입니다. 다른 참고서를 보면 $\alpha$와 $\beta$를 $a$와 $b$에 대해서 표현한 식이 참 많이 보이는데, 이를 굳이 힘들게 외우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그러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면, 여기서 $\alpha$와 $\beta$가 왜 중요한가? 바로 $\theta$가 얼마일 때 최대이고 최소인지 문제에서 묻기 때문이죠. 일반적으로는 $\sin$은 $\dfrac{\pi}{2}$일 때 최대, $\dfrac{3}{2} \pi$일 때 최소이므로 $$ \theta + \alpha = \frac{\pi}{2},\ \frac{3}{2}\pi$$ 를 사용하여 $\theta$를 구합니다. 너무 힘들지 않았나요? 그래서, 이를 좀 더 쉽고 색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합니다. 벡터와 벡터의 내적 (이미 벡터와 내적을 알고 계신 분들은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벡터란, 고등학교 내에서는 크기와 동시에 방향을 가지는 양으로 정의합니다. 그래서 표현도 화살표로 표현하죠. 하지만, 사실 수학에서는 벡터공간이라는 것을 특별히 정의하여 그것의 원소이기만 하면 벡터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직관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n$차원 벡터같은 것도 있죠. 앞으로의 설명을 위해 원점에 대한 위치벡터로 표현하겠습니다. 위치벡터란 어떤 점을 기준점으로 한 벡터로, 만일 좌표계의 원점을 기준점으로 잡았으면, 그 점의 좌표에서 기준점의 좌표를 뺀 것이 위치벡터가 되는 셈이죠. 기준점을 원점으로 잡은경우 즉, 만일 기준점을 원점으로 했다면 그냥 그 점의 좌표가 위치벡터가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앞으로는 이렇게 원점을 기준점으로 한 위치벡터만을 사용하겠습니다. 이렇게 벡터는 순서쌍으로 표현될 수 있고, 각각 ($x$성분, $y$성분)을 나타냅니다. 앞으로는 위치벡터를 하나의 소문자로 쓰고, 볼드체로 나타내겠습니다. 그리고, 두 벡터 $\mathbf{p} = (p_1 , p_2)$와 $\mathbf{q} = (q_1,q_2)$ 의 내적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mathbf{p} \cdot \mathbf{q} = p_1 q_1 + p_2 q_2$$ 이로부터 얻어지는 성질로 벡터의 크기를 $||\mathbf{p}|| = \sqrt{p_1^2 + p_2^2}$ 라고 정의하고, 두 벡터의 사잇각을 $\theta$ 라고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mathbf{p} \cdot \mathbf{q} = ||\mathbf{p}|| \ ||\mathbf{q}|| \cos\theta $$ 또한, 내적은 교환법칙이 성립합니다. 그럼, 이를 활용해보죠. 내적을 이용한 삼각함수의 합성 삼각함수의 합성을 보면, $a\sin\theta + b\cos\theta$의 꼴입니다. 뭔가 곱해져 있고, 더해져 있는 꼴이니까 내적과 연관지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즉, 이렇게 써보는 것이죠. $$a\sin\theta + b\cos\theta = (\cos\theta , \sin\theta)\cdot(b,a)$$ 굳이 벡터를 $(\sin\theta,\cos\theta)$가 아닌 $(\cos\theta,\sin\theta)$라고 쓴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좌표평면에서 $(\cos\theta,\sin\theta)$는 반지름의 길이가 $1$인 단위원 위의 한 점을 나타내기 때문이죠. 즉, 좌표평면에 두 벡터 $(\cos\theta,\sin\theta)$와 $(b,a)$를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원과 벡터 그렇다면, 내적의 성질에 의해 두 벡터가 평행할 때, 즉 $\theta = \beta$일 때 $\cos(\theta-\beta)$의 값이 $1$이 되므로 최대가 되겠군요. 반대로, 두 벡터의 방향이 반대일 때, 즉 $\theta = \beta + \pi$일 때 $\cos(\theta – \beta)$의 값이 $-1$이 되니 최소가 됩니다. (위 그림에서 사잇각이 $\theta – \beta$라는 점을 생각하면 됩니다) 다시 말해서, 그냥 최대일 때의 $\theta$는 $\beta$, 최소일 때는 $\beta + \pi$가 된다는 것입니다. 즉, 굳이 어렵게 외우려고 하지 않아도 위 그림만 그리면 된다는 의미이죠. $(\cos\theta,\sin\theta)$의 크기는 $\sqrt{\cos^ \theta + \sin^2 \theta} = 1$이고 $(b,a)$의 크기는 $\sqrt{a^2 + b^2}$이므로 합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a\sin\theta + b\cos\theta = (\cos\theta , \sin\theta)\cdot(b,a) = \sqrt{a^2 + b^2} \cos(\theta-\beta)$$ (우와! 알고 있던 식과 같네요!) 실제로 이 $\beta$가 앞에서의 $\beta$가 맞습니다. 사인에 대해 정리하고 싶으시다면 적절히 $\dfrac{\pi}{2}$를 더하고 빼면 되겠죠. 복소수를 이용한 삼각함수의 합성 (문제를 빨리 풀기만을 위한 사람들은 이 파트를 뛰어넘어도 됩니다.) 삼각함수와 관련있는 것이 또 있습니다. 바로, 복소수인데요. 가로축을 실수축으로, 세로축을 허수축으로 한 복소평면위에 모든 복소수를 대응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소수 또한 벡터처럼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값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일러 공식이라는 위대한 공식이 있죠. 다음과 같습니다. $$e^{i \theta} = \cos\theta + i\sin\theta$$ 즉, 모든 복소수를 위와 같은 지수함수꼴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복소수 $z$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z = r e^{i\phi}$$ 여기서 $r$은 $z$의 크기, $\theta$는 $z$의 편각입니다. 이를 통해 다시 삼각함수의 합성을 생각해봅시다. 다음과 같은 두 복소수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z_1 = \cos\theta + i\sin\theta$$ $$z_2 = b+ai$$ 그러면 각각은 오일러 공식에 의해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습니다. $$z_1 = e^{i\theta}$$ $$z_2 = \sqrt{a^2 + b^2} e^{i\beta}$$ 둘을 나눠보죠. 그러면 다음과 같습니다. $$ \frac{z_1}{z_2} = \frac{\cos\theta+i\sin\theta}{b+ai} = \frac{1}{\sqrt{a^2 + b^2}} e^{i(\theta-\beta)} $$ 분모의 실수화를 통해 식을 정리하면, $$ \frac{(\cos\theta+i\sin\theta)(b-ai)}{\sqrt{a^2 + b^2}} = \frac{(a\sin\theta + b\cos\theta)+(b\sin\theta – a\cos\theta)i}{\sqrt{a^2+b^2}} = e^{i(\theta-\beta)} $$ 오일러 공식에 따라 $e^{i(\theta-\beta)} = \cos(\theta-\beta) + i\sin(\theta-\beta)$이므로, 복소수 상등을 적용하면 이렇게 정리될 수 있습니다. $$ a\sin\theta + b\cos\theta = \sqrt{a^2 + b^2} \cos(\theta-\beta) $$ $$ b\sin\theta – a\cos\theta = \sqrt{a^2 + b^2} \sin(\theta-\beta) $$ 오! 이렇게 해도 결과가 나오는군요! 만일 $\sin$에 대해 정리하고 싶으시다면 $\theta$ 대신 $\theta + \dfrac{\pi}{2}$를 대입하면 됩니다. $$ b\sin\left(\theta+\frac{\pi}{2}\right) – a\cos\left(\theta+\frac{\pi}{2}\right) = a\sin\theta + b\cos\theta = \sqrt{a^2 + b^2} \sin\left(\theta + \left(\frac{\pi}{2}-\beta\right)\right) = \sqrt{a^2 + b^2} \sin(\theta+\alpha) $$ 단, 여기서 $\alpha = \dfrac{\pi}{2} – \beta$입니다. 이도 앞에서의 $\alpha$가 맞습니다. 마치며 이 방법이 익히는데 조금 걸릴지는 몰라도 유용하게 사용하면 정말 좋은 방법입니다. 뭔가 위상자와도 관계가 있는것 같습니다. 그것은 한번 개인적으로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삼각 함수 의 합성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삼각함수의 합성 교육과정, 삼각함수의 합성 2015 교육과정, 삼각함수의 합성 문제, 삼각함수의 합성 예제, 삼각함수의 합성 활용, 삼각함수의 합성 수능,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삼각함수 덧셈정리 증명

키워드에 대한 정보 삼각 함수 의 합성

다음은 Bing에서 삼각 함수 의 합성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토익 노 베이스 | 250 → 855점 | 토익 노베이스 독학러의 경험담 ' 가장 현실적이면서 중요한 공부 ' | 노베이스 필수시청 84 개의 자세한 답변
See also  차 눈 치우기 | 폭설 내리면 무조건 필수!소중한 자동차를 아낀다면 꼭 하세요!!(폭탄맞은 자동차 눈 제거)유용한 꿀팁~ 209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See also  굶지 마 한글 | 굶지마 투게더 한글화 방법 답을 믿으세요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삼각함수의 합성

  • 삼각함수의 합성

삼각함수의 #합성


YouTube에서 삼각 함수 의 합성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삼각함수의 합성 | 삼각 함수 의 합성,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